- 연구실명
- 물환경·고도수처리 연구실(Water Environment & Advanced Treatment)
- Prof.
- 박정안 / Park, Jeong Ann
- Homepage
-
- Tel
- 033-250-6359
- Intro.
- 물환경·고도수처리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수중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1) 산화환원반응, 2) 나노섬유 멤브레인, 3)기능성 흡착제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4) 미량유해물질(contaminant of emerging concern) 처리기술 및 5) 분해기작(transformation kinetics and mechanisms), 6) 환경미생물 및 모델링을 통한 부산물들의 독성평가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 연구실명
- 폐자원에너지화연구실(waste(water)-to-energy laboratory, WtE)
- Prof.
- 안종화 / Ahn, Johng Hwa
- Tel
- 033-250-6357
- Intro.
- 폐자원에너지화연구실(waste(water)-to-energy laboratory, WtE)에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폐기물은 버려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자원 또는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실의 중점 연구분야는 (1) 유기성폐자원을 이용한 혐기소화기술개발, (2) 마이크로웨이브와 환경분야의 융합기술 개발, (3) 순환골재 재활용 방법 연구, (4) 수학통계적방법을 이용한 최적화 방법 연구 등이다.
- 연구실명
- 에어로졸공학연구실(Aerosol Control Laboratory)
- Prof.
- 이명화 / Lee, Myong-Hwa
- Homepage
-
- Tel
- 033-250-6351
- Intro.
- 에어로졸공학연구실에서는 인체에 위해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자상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그 전구물질인 가스상오염물질까지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그 핵심부품인 환경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점 연구분야는 1차생성 미세먼지 제거기술인 (1) 먼지부하량을 줄이기 위한 원심력 집진, (2) 미세먼지의 고효율 집진을 위한 여과집진, (3) 기존 대유량처리를 위한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연구와 (4) 2차생성 미세먼지의 전구물질인 SOx, NOx를 입자상물질로 전환하여 제거하는 기술개발이다.
- 연구실명
- 기후변화대응연구실(Climate Change Mitigation Lab)
- Prof.
- 임성린 / Lim, Seong-Rin
- Homepage
- Tel
- 033-250-6358
- Intro.
- 기후변화대응연구실(Climate Change Mitigation Lab)에서는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기술, 관리, 정책 방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학문적으로는 산업생태학에 바탕을 두어 다양한 과학, 공학, 경영학, 경제학을 적용하는 융합학문입니다. 연구 세부 분야로는 (1) 공정시스템과 제품의 저탄소 및 친환경 설계, (2) 자원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물질흐름분석, (3) 신재생에너지의 생태환경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전과정평가, (4) 기업의 환경경영 성과 분석, (5) 폐전자제품의 관리 정책 개발, (6) 신기술의 환경성 및 경제성 평가분석 등이 있습니다.
- 연구실명
- 지속가능 환경 기술 연구실 (Sustainable Environmental Technology Laboratory, SETL)
- Prof.
- 전강민 / Chon, Kangmin
- Homepage
-
- Tel
- 033-250-6352
- Intro.
- 지속가능 환경 기술 연구실 (Sustainable Environmental Technology Laboratory, SETL)에서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수자원 및 에너지 부족, 환경오염,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능동적이고 근원적인 해결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 본 연구실에의 중점 연구분야는 (1) 수환경에 존재하는 용존유기물질 (DOM : Dissolved Organic Matter)의 전처리 기술 개발 및 특성분석, (2) 분리막 및 고도산화 수처리 기술들을 적용한 고효율-저에너지-무방류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시스템 구현, (3) 해수와 담수의 염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염분차 발전의 막오염 기작 규명 및 저감 방안, (4) 농축된 해수 및 하수로부터 유가자원을 회수하기 위한 새로운 수처리 시스템 개발이다.
- 연구실명
- 대기환경연구실(Atmospheric environment lab)
- Prof.
- 최나래 / Chol, Na Rae
- Homepage
-
- Tel
- 033-250-6353
- Intro.
- 준비중